
이번 글에선 Git init 명령어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Git 의 명령어를 이용할때 보통 2가지 방법을 이용하는데요.
1. CLI 를 이용하는 방법
2. VSCode 를 이용하는 방법
아래는 git init 에 대한 공식 문서입니다. 👇👇👇👇
https://git-scm.com/docs/git-init
Git - git-init Documentation
This command creates an empty Git repository - basically a .git directory with subdirectories for objects, refs/heads, refs/tags, and template files. An initial branch without any commits will be created (see the --initial-branch option below for its name)
git-scm.com
📌 Git init 이란 ?
git init 명령어는 현재 작업하고 있는 폴더에 대해 git 시스템을 적용하는 명령어입니다.
✍ 준비물
1. Git Bash ( git 설치 하셨으면 설치 되어있을겁니다. ) or zsh ( 맥북에선 기본 명령 프롬프트가 zsh 입니다. )
2. 작업할 폴더
📌 CLI 를 이용하는 방법
Git Bash 를 사용하였습니다.
ls 명령어는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 내부에 있는 파일을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ls -a 를 입력하게되면 숨겨진 파일까지 전부 나오게됩니다.
.git 이라는 디렉토리(폴더)가 추가되었습니다.
.git 디렉토리 안에는 git 사용을 위한 파일과 사용자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담겨있습니다.
git init 을 마치게되면 Branch 명 ( 초기 master ) 가 경로명 옆에 뜨게되는데 이렇게 뜨면 정상적으로 되고있는겁니다.
📌 VSCode 를 이용하는 방법
VSCode 를 이용하게 되면 앞선 방법보다 훨씬 간단해집니다.
첫째, VSCode 를 킵니다.
둘째, 작업을 진행하려는 폴더를 열어줍니다. ( Ctrl + k 누른 뒤 Ctrl + O )
셋째, VSCode 의 맨 왼쪽 에서 소스 제어 버튼을 눌러줍니다 ( Ctrl + Shift + G )
넷째, 리포지토리 초기화 버튼을 눌러줍니다.
끝.
네 끝이에요..
VSCode로 하는것이 쉽다고 했지만 git init 에서는 차이를 별로 못느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명령어에서는 크게 차이를 느끼게 되실테니 두가지 방법 모두 숙지하는게 좋습니다.
XP!🔥🔥🔥 ( 라고 하기엔 너무 쉽고 내용이 짧다.. )
'B4 Juni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기초 ( 레포지토리 생성 🚀 ) (0) | 2022.05.03 |
---|---|
코드스테이츠 블록체인 과정 4일차 후기 💻 (0) | 2022.05.03 |
Git 기초 ( git 이란 , git 과 github 차이 🐙 ) (0) | 2022.05.01 |
< BODY > 태그에 관하여 💪 (0) | 2022.04.30 |
코드스테이츠 블록체인 과정 3일차 후기 💻 (0) | 2022.04.29 |
백엔드는 못말려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