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은 2가지로 나뉜다. 1. 선언형 프로그래밍 함수형 프로그래밍 2. 명령형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절차지향 프로그래밍 선언형 1. 함수형 프로그래밍 순수 함수들을 쌓아올려서 로직을 구현한다. 고차함수를 통해 재사용성을 높인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JS 는 함수가 일급 객체이기 때문에 함수형 프로그래밍쪽이 선호된다. 순수 함수 출력이 입력에만 의존하는 함수 e.g. input { a = 2 , b = 3 } output { a + b } 고차 함수 함수가 함수를 값으로 받아서 사용하는 함수 명령형 1.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추상화 복잡한 시스템으로 부터 핵심적인 개념을 뽑아내는 것 나, 개발자, 키 180, 안경안씀 등의 내용을 뽑아 내는 것 캡슐화 객체의 속성과 메소드를 하나로 묶고 ..
1. 싱글톤 패턴 - 하나의 클래스에 오직 하나의 인스턴스만 가지는 패턴 - DB 연결에 많이 사용된다. - 인스턴스가 하나다보니 리소스가 적게 든다. - 인스턴스 하나를 여러 곳에서 다루기에 의존성이 커진다. - TDD 에서의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자바에서의 싱글톤 // Java // 쓰레드 세이프한 static 방식 class Singleton { private static class singletonInstance { private static final Singleton Instance = new Singleton(); } public static Singleton getInstance() { return singletonInstance.Instance; } } public Class Ma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