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글에선 레포지토리 복제 명령어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 준비물 1. Github 계정 2. VSCode 3. Github 계정에 게시해놓은 레포지토리 4. Git Bash 또는 Zsh git init 에 대해 다룬 게시글. 👇👇👇👇 https://behoney.tistory.com/entry/Git-%EA%B8%B0%EC%B4%88-git-init-%F0%9F%8F%83%E2%80%8D%E2%99%82%EF%B8%8F Git 기초 ( git init 🏃♂️) 이번 글에선 Git init 명령어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Git 의 명령어를 이용할때 보통 2가지 방법을 이용하는데요. 1. CLI 를 이용하는 방법 2. VSCode 를 이용하는 방법 아래는 git init 에 대한 공식 문서입 behone..

이번 글에선 레포지토리 연결 명령어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 준비물 1. Github 계정 2. Git init 이 완료된 작업 폴더 3. VScode 4. Gitbash 또는 Zsh git init 에 대해 다룬 게시글. 👇👇👇👇 https://behoney.tistory.com/entry/Git-%EA%B8%B0%EC%B4%88-git-init-%F0%9F%8F%83%E2%80%8D%E2%99%82%EF%B8%8F Git 기초 ( git init 🏃♂️) 이번 글에선 Git init 명령어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Git 의 명령어를 이용할때 보통 2가지 방법을 이용하는데요. 1. CLI 를 이용하는 방법 2. VSCode 를 이용하는 방법 아래는 git init 에 대한 공식 문서입 behoney.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