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요오랜만에 제가 만들던 프로젝트의 패키지 구조를 살펴봤는데 난해하고 이걸 어디에 둬야지 적절하지(?)라는 의문이 들어서 디렉토리 구조를 리팩토링 해보자 라는 목표로 패키지를 재구성하게 되었습니다. 이 글은 MVC 패턴이 아닌 포트 어댑터 패턴에서의 효율적인 구조에 대해 탐구합니다.순도 100%의 주관적 견해이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준비물1. 포트 어댑터 패턴에 대한 기본지식2. Spirng + Jpa..(?) 크겐 필요없음3. 개선 사항이 보이면 의견 주시기 😘 📚 정의목표는 기 때문에 좋은 디렉토리의 기준을 정의 해보고자 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좋은 패키지 구조란1.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져도 디렉토리의 변화가 없다2. 외부 기술스택의 변화가 생기더라도 변화가 없다3. 디렉토리만 바라보고..

📚 개요이직 준비가 길어져서 스터디를 구했는데 스터디 그룹 내에서 프로젝트를 해보자! 라는 얘기가 나왔습니다.MSA 환경에서의 개발 및 운영을 해보기 위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MSA 는 많은 서비스와의 연결이 있기에 MVC패턴보단 헥사고날 아키텍처가 적합하다 판단했습니다.이를 적용하는 과정에서의 학습지식, 문제점 등을 정리 해보려합니다. 📚 준비물1. 정말 단단한 멘탈2. 아키텍처에 대한 관심과 열정3. Kotlin + Spring Boot4. 틀린부분 있으면 태클 걸어주는 친절함 😉 😢 헥사고날 아키텍처 (클린아키텍처, 포트어댑터패턴) 의 탄생 배경기존의 레이어드 아키텍처 (e.g. MVC)는 의존성의 관계가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 -> 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