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글에선 레포지토리 연결 명령어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 준비물
1. Github 계정
2. Git init 이 완료된 작업 폴더
3. VScode
4. Gitbash 또는 Zsh
git init 에 대해 다룬 게시글. 👇👇👇👇
Git 기초 ( git init 🏃♂️)
이번 글에선 Git init 명령어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Git 의 명령어를 이용할때 보통 2가지 방법을 이용하는데요. 1. CLI 를 이용하는 방법 2. VSCode 를 이용하는 방법 아래는 git init 에 대한 공식 문서입
behoney.tistory.com
레포지토리 생성에 대해 다룬 게시글. 👇👇👇👇
Git 기초 ( 레포지토리 생성 🚀 )
이번 글에선 레포지토리 생성 명령어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Github 의 레포지토리를 생성할때 보통 깃허브 웹페이지를 이용하지만 CLI 를 이용해서 만드는법을 알게 되었으니 셋 다 다루겠습니다.
behoney.tistory.com
깃헙과의 연결은 다음의 방법으로 할 수 있습니다.
1. CLI 를 이용하는 방법
2. VSCode 를 이용하는 방법 ( 추천 )
📌 CLI 를 이용하는 방법
CLI 를 이용하게 되면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앞서 위의 작업을 완료 했을 때면 CLI 화면에 다음과 같이 나올겁니다.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명령어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qudgus9601/github-remote-practice.git
git ( git 명령어 시작 )
remote ( remote 명령어 : repository 연결할때 쓴다. )
add ( 더한다 )
origin ( 아무거나 쓰셔도 됩니다. branch 의 이름으로 쓰입니다. branch란 사용자명 같은 느낌?)
https:// ~~ ( 레포지토리 주소입니다. )
레포지토리 주소의 경우 2가지로 나뉩니다.
1. https:// ~~ 로 시작하는 https 주소
2. git@~~ 로 시작하는 ssh 주소
어떤걸 복사하시던 상관없습니다. 저는 https 를 이용했습니다.
입력하시게 되면 출력 문구 없이 그대로 완료됩니다.
정상적으로 등록이 된건지 확인하려면
git remote -v 명령어를 통해서 연결이 제대로 된건지 확인 가능합니다.
📌 VSCode 를 이용하는 방법
우선 초기 작업이 완료 된 상태라면
VSCode 의 소스제어 탭에는 이런식으로 나올겁니다.
여기서 도구모음의 보기 창에서 명령 팔레트를 실행해줍니다.
이런 CL 입력 창이 나오게 되는데 여기서 Git: 원격 추가를 눌러줍니다.
그러면 리포지토리 URL 을 입력하거나 리포지토리 소스를 선택하세요. 라는 문구가 나오는데
입력 창에 https 주소나 ssh 소스를 입력해줍니다.
그리고 그 다음 원격 이름을 제공하세요. 라는 문구가 나오는데 여기엔 아까 origin 을 적은것처럼 branch 이름을 적어줍니다.
하고나면 오른쪽 아래에
이런 문구가 나오는데 아니오를 눌러주세요. 레포지토리와 github에 등록된 소스가 다를 때 github에 등록된 소스를 주기적으로 가져오는것입니다.
제대로 된건지 확인하려면
이 부분이 새로고침 모양이면 된 것입니다.
문구로 확인하려면 상단의 도구모음에서 터미널 - 새 터미널 실행하시고
git remote -v 입력했을 때 다음과 같이 나오면 됩니다.
끝!!
개인적으로 모든 방법을 알고 있는게 편하겠지만 사실 이건 VSCode로만 알고 있어도 사는데 무리는 없습니다.
VSCode로 먼저 여러차례 진행 해보시고, CLI 로 영역을 넓혀보세요!
XP!🔥🔥🔥
'B4 Juni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기초 ( git clone 👥) (0) | 2022.05.05 |
---|---|
코드스테이츠 블록체인 과정 5일차 후기 💻 (0) | 2022.05.04 |
Git 기초 ( 레포지토리 생성 🚀 ) (0) | 2022.05.03 |
코드스테이츠 블록체인 과정 4일차 후기 💻 (0) | 2022.05.03 |
Git 기초 ( git init 🏃♂️) (0) | 2022.05.02 |
백엔드는 못말려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