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글에선 레포지토리 복제 명령어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 준비물
1. Github 계정
2. VSCode
3. Github 계정에 게시해놓은 레포지토리
4. Git Bash 또는 Zsh
git init 에 대해 다룬 게시글. 👇👇👇👇
Git 기초 ( git init 🏃♂️)
이번 글에선 Git init 명령어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Git 의 명령어를 이용할때 보통 2가지 방법을 이용하는데요. 1. CLI 를 이용하는 방법 2. VSCode 를 이용하는 방법 아래는 git init 에 대한 공식 문서입
behoney.tistory.com
아래는 git clone 에 대한 공식 문서입니다. 👇👇👇👇
https://git-scm.com/docs/git-clone
Git - git-clone Documentation
In general, URLs contain information about the transport protocol, the address of the remote server, and the path to the repository. Depending on the transport protocol, some of this information may be absent. Git supports ssh, git, http, and https protoco
git-scm.com
📌 Git Clone 이란 ?
아래는 git clone 에 대한 공식 문서입니다. 👇👇👇👇
git clone 명령어는 현재 작업하고 있는 폴더에 원하는 레포지토리를 받아온다.즉, 이미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합류했을 경우 처음 사용하게 될 명령어라는 말씀!Fork , Clone , Remote , Pull 등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정말 처음 ! 초기 ! 첫번째 ! 에는 Clone 을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이 명령어에는 한가지 방법을 다룹니다.
1. CLI 를 이용하는 방법
2. VSCode 의 명령팔레트를 이용하는 방법
📌 CLI 를 이용하는 방법
미리 게시해놓은 레포지토리의 주소를 가져옵니다.
여기서는 예시 ) https://github.com/qudgus9601/git-clone-practice.git 주소를 이용합니다.여러분은 각자의 주소를 이용해주세요!
Git Bash에서 바탕화면으로 이동하여 git clone 레포지토리주소를 입력합니다.
어떻게 이동하는지 모르겠는 분들은 작업할 폴더를 VSCode에서 열어주시고 터미널창을 열어서 작업하세요!
이동에 필요한 리눅스 명령어는 여기서 다루지 않습니다.
위 명령어를 입력하게되면
자동으로 폴더를 생성해줍니다.
그리고 자동으로 레포지토리와 작업 폴더를 remote 해줍니다.
아주 간단하죠?
📌 VSCode 의 명령팔레트를 이용하는 방법
VSCode 에서 명령팔레트를 열어줍니다.
입력창에 Git 을 입력해주면 관련 명령어 목록이 나오는데 여기서 Git: 복제를 눌러줍니다.
다음엔 이 창이 나오는데 여기에 생성해놓은 레포지토리의 주소를 복사해서 넣습니다.
원하는 위치를 선택해서 Clone을 완료하면 됩니다.
끝!!
이로써 매우 간단하게 진행중이던 프로젝트에 참여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XP!🔥🔥🔥
'B4 Juni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스테이츠 블록체인 과정 7일차 후기 💻 (0) | 2022.05.07 |
---|---|
코드스테이츠 블록체인 과정 6일차 후기 💻 (0) | 2022.05.06 |
코드스테이츠 블록체인 과정 5일차 후기 💻 (0) | 2022.05.04 |
Git 기초 ( git remote 📡 ) (0) | 2022.05.03 |
Git 기초 ( 레포지토리 생성 🚀 ) (0) | 2022.05.03 |
백엔드는 못말려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