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글에선 Git pull 명령어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Git 의 명령어를 이용할때 보통 2가지 방법을 이용하는데요.
1. CLI 를 이용하는 방법
2. VSCode 를 이용하는 방법
이 글에서는 CLI를 이용해서만 해보겠습니다.
VSCode 로 하는 것은 remote를 해놓지 않은 이상 pull 해오기가 불편합니다. CLI 쓰세용
아래는 git pull에 대한 공식 문서입니다. 👇👇👇👇
https://git-scm.com/docs/git-pull
Git - git-pull Documentation
Often people use git pull without giving any parameter. Traditionally, this has been equivalent to saying git pull origin. However, when configuration branch. .remote is present while on branch , that value is used instead of origin. In order to determine
git-scm.com
❓ Git pull 이란 ?
git pull 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git pull [<옵션>] [<리포지토리> [<refspec>…]]
git pull 은 특정 레포지토리로부터 파일을 전부 받아옵니다.
pull 과 유사한 명령중에 fetch 라는 명령이 있는데
차이점을 간단히 말하자면, fetch 는 소스를 가져오기만 하고, pull은 가져와서 내 소스와 비교 한 뒤 내 것을 최신의 것으로 교체합니다.
✍️ 준비물
1. Github 계정
2. git bash , Zsh 둘 중 하나
3. 작업할 폴더 ( Git init 을 적용 해놓은 폴더 )
📌 CLI 를 이용하는 방법
cd 와 ls 명령어를 이용해 적절히 작업중인 폴더로 이동합니다.
다음과 같이 경로 옆에 master 가 뜨지 않는다면 git init 으로 git 시스템을 적용해야합니다.
이렇게 뜨면 완료.
이상태로 위의 git pull 명령어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master 브런치의 것을 pull 해올 경우 git pull 레포지토리주소
특정 브런치의 것을 pull 해올 경우 git pull 레포지토리주소 브런치명
근데!!
remote가 되어있는 레포지토리가 존재한다면
git pull 만 적고 하셔도 바로 당겨옵니다! (은근 꿀팁)
땡겨온 파일들,
git pull 은 단독작업이어도 유용하니 꼭 숙지하세요!
XP 🔥🔥🔥
'B4 Juni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스테이츠 블록체인 과정 13일차 후기 💻 (0) | 2022.05.17 |
---|---|
코드스테이츠 블록체인 과정 1일차 후기 💻 (0) | 2022.05.17 |
코드스테이츠 블록체인 과정 11일차 후기 💻 (0) | 2022.05.14 |
코드스테이츠 블록체인 과정 10일차 후기 💻 (0) | 2022.05.13 |
코드스테이츠 블록체인 과정 9일차 후기 💻 (0) | 2022.05.10 |
백엔드는 못말려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